2025-11-17-TIL
Today I Learned 오늘은 올해 봤던 면접중 하나를 복기하면서 내가 잘 대답하지 못 했던 개념들, 그리고 내가 잘 설명하지 못 했던 나의 경험들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그때 당시에는 몰랐는데 내가 들어도 정말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 지원자로 들린다. 뭔가 알맹이는 없고 껍데기만 있는 것 같다. 플랫폼이란 플랫폼(Platform)은 사람들이...
Today I Learned 오늘은 올해 봤던 면접중 하나를 복기하면서 내가 잘 대답하지 못 했던 개념들, 그리고 내가 잘 설명하지 못 했던 나의 경험들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그때 당시에는 몰랐는데 내가 들어도 정말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 지원자로 들린다. 뭔가 알맹이는 없고 껍데기만 있는 것 같다. 플랫폼이란 플랫폼(Platform)은 사람들이...
Today I Learned 오늘 동네를 돌아다니다가 수많은 임대 건물들과 손님이 없는 가게들을 보았다. 그 손님이 없는 술집, 음식점, 그리고 카페에는 사장님들이 각자 쓸쓸하게 또는 굳건하게 자리를 지키는 모습이 보였다. 어두운 동네에서 따뜻한 주황빛 하나가 사장님을 비추고 있는데, 어떤 사람은 핸드폰만 만지면서 마냥 기다리기만 했고, 어떤 사람은...
Bulkhead Pattern Bulkhead(Partition, 격벽)란 항공기나 선박에서 내부의 구간을 나누는 칸막이 역할을 하는 요소를 말한다. 이는 구획별로 침수 피해를 입어도 다른 구획은 피해를 입지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서버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살펴보면 물의 흐름과 비슷한 점이 많다. 따라서 파이프의 서킷 브레이커 같은 용어를 가...
Today I Learned 오늘의집 커피챗을 대비하면서 나에게 도움이 될만한 질문을 준비해보았다. 실제로 간단한 커머스 서비스를 설계하고 내부 시스템까지 구축해보면서 커머스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파악해보려고 한다. 공고 내용을 바탕으로 보면, 오늘의집 커머스 백엔드 포지션은 트래픽이 높은 커머스 코어 도메인(주문·결제·정산 등)을 다루면서, AI ...
Today I Learned 오늘은 링크드인에서 B사의 개발자분이 직접 채용공고와 함께 글을 올린것을 보았다. 편하게 연락달라는 글과 연락처 및 메일, 그리고 채용공고 링크가 있었다. 이렇게 올라온 글은 어떤 목적으로 쓰여진 것일까? 내가 생각하기로는 지원자 입장에서는 편하게 연락해서 커피챗이나 간단한 통화를 해보고 내 이력서의 이름이라도 한 번 더...
이 장에서는 백엔드의 핵심인 성능이나 병목 등 문제 해결을 하기 이전에 그 기준이 되는 값을 측정하는 내용을 다룬다. 각 요소의 어떤 값을 기준으로 측정할지 알려주면서 서버의 전체 구조를 포함해서 설명한다. 처리량과 응답 시간 앱을 실행했을 때 로딩이 길어지면 성능이 나쁘다고 말한다. 너무 오래 걸리면 심지어 타임아웃이 발생하기도 한다. 실제로 성...
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 할까? 테스트 코드는 “버그 예방 + 안전한 변경 + 지식의 기록”을 자동으로 해주는 가장 싸고 강력한 도구이다. 덕분에 더 빠르게, 더 자신 있게, 더 오래 유지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테스트 코드가 주는 핵심 가치의 장점이 크기 때문에 작성하는 것이 좋다. 테스트 코드가 주는 핵심 가치 1...
Single Flight? 개발을 하면서 종종 동일한 리소스에 대한 여러 요청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중복 작업, 서비스 부하 증가, 그리고 전반적인 비효율성과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Go에서는 singleflight 패키지(golang.org/x/sync/singleflight)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S...
Today I Learned Spring의 의존주입(DI) 방식 3가지 생성자 주입 (Constructor Injection) 의존 객체를 생성자의 파라미터로 전달받아 주입하는 방식 불변성(immutability)을 보장하고, 테스트 시에 의존 객체를 명확하게 주입해야 하므로 안정성이 높다. 스프링 4.3 이후에는 생성자가 하...
Today I Learned 오늘은 멘토링이 있는 날이다. 이전 시간에 ACID에 대해서 깊이있는 이야기를 했는데, 관련 내용이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의 07장 트랜잭션에 나와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설명을 잘 읽어보면 ACID 속성의 하나하나가 더 와닿는다. 이 네 가지 속성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정리해봐야겠다. 그리고 MongoDB 등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