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 Flight
Single Flight? 개발을 하면서 종종 동일한 리소스에 대한 여러 요청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중복 작업, 서비스 부하 증가, 그리고 전반적인 비효율성과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Go에서는 singleflight 패키지(golang.org/x/sync/singleflight)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S...
Single Flight? 개발을 하면서 종종 동일한 리소스에 대한 여러 요청이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중복 작업, 서비스 부하 증가, 그리고 전반적인 비효율성과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Go에서는 singleflight 패키지(golang.org/x/sync/singleflight)로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S...
Today I Learned 오늘은 멘토링이 있는 날이다. 이전 시간에 ACID에 대해서 깊이있는 이야기를 했는데, 관련 내용이 ‘데이터 중심 애플리케이션’의 07장 트랜잭션에 나와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설명을 잘 읽어보면 ACID 속성의 하나하나가 더 와닿는다. 이 네 가지 속성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정리해봐야겠다. 그리고 MongoDB 등 N...
Today I Learned 자바빈이란 자바빈은 원래 비주얼 툴에서 조작 가능한 컴포넌트를 말한다. 자바의 주력 플랫폼이 웹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방식으로 바뀌면서 이제는 JSP 빈, EJB 같은 표준기술과 자바빈 스타일의 오브젝트를 사용하는 오픈소스 기술을 통해서 이어져왔다. 자바빈(JavaBean)은 자바(Java)에서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에프랩(F-Lab) 코스명 2개월 후기 에프랩(F-Lab)에서 코스명을 시작한 지 벌써 2개월이 지났다. 지난 기간 동안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체계적인 학습 환경과 꾸준한 피드백의 힘이었다. 혼자 공부할 때는 놓치기 쉬운 기본기와 습관들을 다시 다잡을 수 있었고, 작은 성과들이 쌓이면서 확실한 성장감을 얻을 수 있었다. 단순히 지식을 쌓는 것을 ...
ACID 데이터베이스에서 ACID는 트랜잭션이 안전하고 일관되게 처리되도록 보장하는 4가지 핵심 속성을 뜻한다. 이 4가지 속성은 트랜잭션 패러다임에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중요한 사항으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의 여러 측면에서 영향을 미쳤다. 참고로, ACID와 반대 개념인 BASE는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 소프트 상태, 최종적으로 일관성...
@Service public class PriceQueryServiceImpl implements PriceQueryService { private final CachePriceRepository redisRepository; private final TimeSeriesPriceRepository timeSeriesRepository; ...
Today I Learned 2025-08-13-Mentoring 오늘은 간만에 가슴에 불을 지피는 멘토링이었다. 최근에 개인적인 이유로 멘토링에 대한 학습시간을 많이 내지 못 했는데, 열심히 해야겠다는 다짐이 다시 생겼다. MySQL의 레코드 락 InnoDB 스토리지 엔진 수준의 잠금 기능으로, 레코드 자체만을 잠그는 락을 의미한다. 실제로는...
Today I Learned 2025-08-06-Mentoring-Review 과제 피드백 최근 chatGPT로 코딩테스트가 검증이 어려워져서 과제 전형으로 많이 채용하는 추세 의존성이 너무 불필요한게 많은데, 보일러 플레이트로 보일 수 있음. 의존성이 무엇을 포함하고 왜 쓰는지 명확히 할 것 답변을 달면서 레퍼런스를 다는 것은 좋은...
Resolve Git Conflicts main 브랜치에서 feature/1 브랜치를 생성하고, feature/1에서 feature/2 브랜치를 생성해서 작업했다. 그런데 feature/1 브랜치에서 PR의 코드리뷰에 대한 피드백으로 수정이 있었다. 이때 기존에 feature/2 -> main으로의 PR에 충돌이 감지되었다. 상황을 요약해보면...
Problem Details란 에러나 예외 상황에 대한 표준화된 응답 형식을 제공하는 개념이다. 특히 HTTP API에서 오류 정보를 구조적으로 전달할 때 많이 쓰인다. 1. 정의 출처: RFC 7807 — Problem Details for HTTP APIs 목적: 오류를 단순히 상태 코드로만 전달하는 대신, JSON이나 XML 형식...